1. 컴퓨트 인스턴스에 SSH로 접속한 후 Block Volume을 포맷한다.
lsblk -f 로 확인
더보기
리눅스 디바이스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로 옵션없이 사용하게 되면 트리형식으로 모든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출력.
-f : 파일시스템 정보 출력
-t : topology 정보 출력
2. 파일시스템 타입 포맷
sudo mkfs -t <fs type> /dev/sdb
mkfs : 파일시스템을 포맷하는 명령어
$ sudo mkfs -t xfs /dev/sdb
meta-data=/dev/sdb isize=512 agcount=4, agsize=3276800 blks
= sectsz=4096 attr=2, projid32bit=1
= crc=1 finobt=1, sparse=1, rmapbt=0
= reflink=1 bigtime=0 inobtcount=0
data = bsize=4096 blocks=13107200, imaxpct=25
= sunit=0 swidth=0 blks
naming =version 2 bsize=4096 ascii-ci=0, ftype=1
log =internal log bsize=4096 blocks=25600, version=2
= sectsz=4096 sunit=1 blks, lazy-count=1
realtime =none extsz=4096 blocks=0, rtextents=0
Discarding blocks...Done.
확인
$ lsblk -f
NAME FSTYPE LABEL UUID MOUNTPOINT
sda
├─sda1 vfat 9814-8B9E /boot/efi
├─sda2 xfs f7cf63bd-4975-44bb-ba99-b81e037be7e1 /boot
└─sda3 LVM2_member yPCycB-EF5X-YrnA-EeXg-5GGp-rlWn-W8ggkL
├─ocivolume-root xfs 8b8d3b19-9faa-4dee-b3ba-765c3515b283 /
└─ocivolume-oled xfs 21d53c77-7876-4a1c-b4e1-a8cd74d1938c /var/oled
sdb xfs d3497517-f2b3-45db-be49-3569b1240999
'Cloud_OCI' 카테고리의 다른 글
[OCI] Block Volume 마운트 해제 (0) | 2023.05.16 |
---|---|
[OCI] Block Volume 마운트 하기 (0) | 2023.05.16 |
[OCI] tomcat 포트 변경 (톰캣 환경설정) (0) | 2023.05.09 |
[OCI] shield Instance 생성 (0) | 2023.05.08 |
[OCI] Apache Web Server 설치 및 실행 (Oracle Linux 8) (0) | 2023.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