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

Open API 란 ?

최선을 다하자! 2022. 8. 26. 09:53

Open API 란?

 

Open API (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API를 말한다.

 

 

 

# API 란 ?

 

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줄임말로 둘 이상의 프로그램이 서로 통신하는 방법이다.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종의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이다.

 

UI는 컴퓨터와 사람을 연결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지만 

API는 컴퓨터나 소프트웨어를 서로 연결한다.

 

특정 사이트에서 특정 데이터를 공유할 경우에 어떤 방식으로 정보를 요청하고 제공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규격들을 

API 라고 부른다.

 

 

# Interface 란?

 

개발을 하게 되면 인터페이스라는 용어를 많이 듣는다.

앞에서 말했듯이 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라고 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은 대충 아실 거고..

그렇다면 인터페이스는 무엇일까?

 

Interface는 단어 그대로 어떤 장치(기계) 끼리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을 의미하겠죠.

 


### API를 좀 더 이해하기 쉽게 !

예를 들어 에어팟을 생각해보자.

 

에어팟을 아이폰에 연결하려고 하면 에어팟에 대한 연결을 할 것인지 말 것인지 아이폰 스크린에 보이게 된다. 

이는 에어팟과 아이폰 사이에서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해 미리 만들어 놓은 규격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끼리 주고 받는 인터페이스이다.

 

자주 듣는 UI도 같은 개념이다. UI는 User Interface 인데, 쉽게 설명하자면 사용자에게 바로 보여지는 Interface 라고 생각하면 된다. 예를들어 애플워치를 아이폰에 연결하기 위해 조작하는 것, 어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기 위해 조작하는 것들,

즉 ! 사용자가 기계와 상호작용하는 모든 것이 User Interface이다.

 

API와 UI 의 차이점을 말하자면

API는 기계 간의 상호작용

UI는 인간과 기계 간의 상호작용 

이라고 볼 수 있겠다.

 

 

즉, 서로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한 방법이 인터페이스이다.

 

 


 

 

# Open API의 사용범위 및 제공처 

 

Open API를 카테코리 별로 분류를 하자면 항공권예약(skyscanner), SNS, 공공데이터, 날씨, 쇼핑, 지도, 음악 

등 사람들의 생활에 밀접하여 다양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네이터, 구글, 페이스북, 스카이스캐너 등등 그동안 수집한 공공데이터를 Open API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 그렇다면 왜 Open API를 사용할까 ?

 

이는 개발시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양질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 그렇다면 왜 Open API를 제공할까 ?

 

제공자는 API를 통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는다고 한다.

요청자와 제공자는 공생관계이다.

예를 들자면 개발자의 경우, 로그인 정보제공 API는 회원가입이라는 귀찮은 절차 없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API 제공자의 경우 홍보효과 및 로그인 정보가 제공자의 아이디로 가입 되도록 연동하기 때문에 회원가입이 자유롭지 않다는 점을 이용하여 이탈율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 Open API는 어떻게 사용하는 건가?

 

Open API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증키를 발급 받아야한다.

인증키가 필요하다는 말은 무엇일까?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오려면 인증을 받아야한다는 뜻이다.

 

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관의 인증을 통해서 사용가능한 것이다.

 

 

예를 위해서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사이트가 제공하는 오픈API 안내문 및 절차를 가져와봤다.

 

 

이상으로  Open API에 대한 간단한 정리를 마무리 짓겠습니다.

 

 

 

 

(백문이불여일견 이라는 말이 맞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