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_Linux&Unix

[Linux/Unix] .bash_profile / 환경구성

최선을 다하자! 2022. 8. 24. 11:16

지금까지 오라클을 설치하며 .bash_profile을 사용하면서 이게 무엇인지, 무슨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 항상 궁금했다.

 

생각난 김에 서치 해보고 끄적여보려고 한다.

 


 

 

 

오라클 설치 전  .bash_profile  에 환경변수를 추가 하는 것이다. 

 

그럼 환경변수는 무엇일까? 

 


 

 

환경변수(environment variable)

 

- 현재 쉘뿐만 아니라 현재 쉘에서 실행되는 모든 프로그램에서 환경변수의 값을 읽을 수 있음         

- 단, 변경된 것은 현재 쉘에만 적용  

(쉘이 바뀌거나 시스템이 부팅되면 적용이 안됨 = 작업한 내용이 기록으로 남아있지 않음)        

 - 그래서 변경내용이 기록으로 남아 있도록 파일에 내용을 담아 둠         

- 환경변수 확인 명령어 : env

 


 

.bash_profile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없을까 하고 계속 서칭해봤다.

 

일단 .bash_profile의 모습은 아래와 같다. 환경변수로 추가된 것들이 export = 로 표시 되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위치는 HOME 디렉토리 아래에 존재한다.

 - 위치 : $HOME/.bash
             [root@localhost oracle]# pwd
              /home/oracle
             [root@localhost oracle]# ls -A
              .ICEauthority  .dmrc    .gnome2          .mcoprc           .viminfo                flash_recovery_area
              .bash_history  .emacs   .gnome2_private  .mozilla          .zshrc                  oraInventory
              .bash_logout   .gconf   .gtkrc           .qt               10201_database_linux32  oradata
              .bash_profile  .gconfd  .kde             .rhn-applet.conf  Desktop                 patch
              .bashrc        .gnome   .mcop            .thumbnails       admin                   product
              [root@localhost oracle]# vi .bash_profile

              # .bash_profile
              # Get the aliases and functions
              if [ -f ~/.bashrc ]; then
                      . ~/.bashrc
              fi
              # User specific environment and startup programs
              PATH=$PATH:$HOME/bin
              export PATH
              unset USERNAME
              export EDITOR=vi
              export LD_ASSUME_KERNEL=2.4.19
              export ORACLE_BASE=/home/oracle
              export ORACLE_HOME=$ORACLE_BASE/product/10g
              export ORACLE_SID=testdb
              export LANG=ko_KR.eucKR
              export ORACLE_TERM=xterm
              export NLS_LANG=AMERICAN_AMERICA.KO16KSC5601
              export ORA_NLS33=$ORACLE_HOME/ocommon/nls/admin/data
              export LD_LIBRARY_PATH=$ORACLE_HOME/lib:/lib:/usr/lib:/usr/local/lib
              export PATH=$PATH:$ORACLE_HOME/bin
              export CLASSPATH=$ORACLE_HOME/JRE:$ORACLE_HOME/jlib:$ORACLE_HOME/rdbms/jlib
              ORACLE_HOSTNAME=www.hui.com; export ORACLE_HOSTNAME
              ORACLE_SID=orcl; export ORACLE_SID

 


다음 글은 잘 정리된 기술블로그에서 가져왔습니다! 아래 출처를 남겼습니다 :)

 

 

.bash_profile 이란?

 

긴 명령어를 단 1글자 혹은 2글자를 입력하여 실행할수 있다면 가독성이 높아지겠죠?

 

리눅스에서 너무 긴 명령어 이거나 특정파일을실행하게 될때 보다 간결, 보다 쉽게 사용하기 위해서 명령어를 명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파일이 .bash_profile 입니다

 

라고 한다 ! 

 


 

.bash_profile 적용 방법 

 

1. 경로 이동

[root@server ~]# cd

접속하는 계정의 홈경로로 이동합니다

 

 

2. .bash_profile 수정하기

[root@server ~]# vi .bash_profile
(.bash_profile을 vi편집기로 실행)

PATH=$PATH:HOME/bin:/usr/app/mysql/bin:/usr/local/apache/bin
(위와 같이 PATH로 된 부분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파일이 있는 경로를 콜론으로 붙여서 추가한다)

BASH_ENV=$HOME/.bashrc
USERNAME="root"

:wq
(편집 중인 vi편집기를 저장하고 종료한다)

 

3. 수정한 .bash_profile 적용하기

# source .bash_profile
(.bash_profile이 적용되도록 한다)

 

 

 

출처 : https://server-talk.tistory.com/8

 

 

좋은 글을 출처로 남겼으니 더 자세한 글은 URL을 클릭해주세요 !

 

부족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