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_Linux&Unix

[rhel8.4] top 명령어

최선을 다하자! 2024. 3. 18. 14:58

top 

 

현재 시스템(OS)의 상태를 나타내줌

- 메모리 사용량, CPU 사용량 등 

- top 커맨드를 실행하는 동안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가능

 

 

요약 영역

- 전체 프로세스가 OS에 대해서 리소스를 어느정도 차지하고 있는지 확인 가능

- 시스템 시간 : GMT 기준 표기 -> timedatectl set-timezone [시간대] 커맨드로 변경

- 유저 : 현재 접속중인 유저 세션 수

- Load Average  : CPU Load(CPU가 사용하는 작업의 양)의 이동 평균을 표시 (1분, 5분, 15분에 대한 평균값)

- TASK : 현재 프로세스들의 상태를 나타내주는 영역

- CPU : CPU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사용률을 보여주는 영역

  • us : 프로세스의 유저 영역에서의 CPU 사용률
  • sy : 프로세스의 커널 영역에서의 CPU 사용률
  • ni : 프로세스의 우선순위(priority) 설정에 사용하는 CPU 사용률
  • id : 사용하고 있지 않는 비율
  • wa : IO가 완료될때까지 기다리고 있는 CPU 비율
  • hi : 하드웨어 인터럽트에 사용되는 CPU 사용률
  • si : 소프트웨어 인터럽트에 사용되는 CPU 사용률
  • st : CPU를 VM에서 사용하여 대기하는 CPU 비율

- Memory : 메모리 영역 사용률 보여주는 영역 

  • total : 총 메모리 양
  • free : 사용가능한 메모리 양
  • used : 사용중인 메모리 양

* buff/cache -> buffer : 커널 버퍼에서 사용되는 메모리 / cache : Disk의 페이지 캐시 

즉, buff/cache는 IO와 관련되어 사용되는 버퍼에 사용되는 메모리를 말한다.

이 메모리가 있으므로써 IO에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를 가질 수 있다.

avail Mem은 swap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의 크기.

 

 

 

디테일 영역 

 

top 커맨드 실행 후 사용할 수 있는 옵션 

 

T : 실행된 시간 오름차순 

M : 메모리 사용량 오름차순

P : CPU 사용량 오름차순 

N : PID 오름차순

R : 오름차순 내림차순 토글 변경

 

k : 입력 후 PID 입력 

      signal 입력하라 표시되면 9 입력

c : 명령 인자 표시 / 비표시

 

space bar: refresh

 

u : 입력한 유저 소유의 프로세스만 표시

B : 상단의 uptime 및 기타 정보값을 블락 선택해 표시

 

f : 화면에 표시될 프로세스 관련 항목 설정

 

 

 

top 명령 실행시 추가할 수 있는 옵션

 

top -d [sec] : 설정된 초단위로 refresh

 

top -c          : command 뒤에 인자값 표시 

 

 

 

ps와 top의 차이점 

 

ps : ps 커맨드를 한 시점에 proc에서 가져온 정보 

top : proc에서 일정 주기로 합산해서 사용률 출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