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환경설정 # set nocp "오리지널 VI와의 호환성을 없애고, VIM 만의 기능들을 쓸 수 있게 함. (compatible) syntax on "언어에 따른 자동 문법, 구문의 색을 다르게 표시. filetype on "파일의 종류를 자동으로 인식. colorscheme torte "컬러스킴을 변경. set ru "화면 우측 하단에 현재 커서의 위치(줄, 칸)를 표시. (ruler) set sc "완성중인 명령을 표시. set nu "라인 번호를 표시. set vb "키를 잘못눌렀을 때 삑 소리를 내는 대신 번쩍임. (visualbell) set hls "검색된 스트링의 하이라이트. (hlsearch) set ci "C 형태의 들여쓰기. (cindent) set ai "자동 들여쓰기. (auto..
[Linux/Unix] find 명령어 / 오래된 파일 삭제하기 / size, mtime, ctime
·
OS_Linux&Unix
* 일정기간 지난 파일 삭제 명령 - 1일 지난 파일 삭제 예 find [디렉토리] -ctime +0 -exec rm -f {} \; * 일정기간 지난 파일 삭제 명령 - 7일 지난 파일 삭제 예 find [디렉토리] -ctime +7 -exec rm -f {} \; * 수정한지 3일 이내 ( -mtime -3 ) 의 파일만 ( 백업할 때 유용 ) find . -mtime -3 -type f -ls * 수정한지 30분 이내 ( -mmin -30 ) 의 파일만 find . -mmin -30 -type -f -ls * 특정용량 이상되는 파일 찾기 - 10MB 이상 되는 파일 찾기 예 find [디렉토리] -size +1000k -exec ls -al {} \; * 생산된지 30일 이상 된 파일만 삭제 fin..
[Unix/Linux] 유닉스 파일 시스템 / 명령어
·
OS_Linux&Unix
1. 파일 시스템 - UNIX 파일 시스템의 디렉터리 구조는 트리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 디렉터리나 주변장치를 파일과 동일하게 취급한다. - 파일 소유자, 그룹 및 그 외 다른 사람들로부터 사용자를 구분하여 파일을 보호한다. - 파일 생성 및 삭제 기능, 보호 기능을 갖는다. - 파일 형식은 일반 파일(Regular File), 디렉터리 파일(Directory File), 특수 파일(Special File)의 세 가지 형식을 제공한다. 2. UNIX 파일 시스템의 구조 - UNIX 파일 시스템의 구조는 디스크를 블록으로 분류하여 배치한 구조를 의미한다. - UNIX 파일 시스템의 구조는 부트 블록(Boot Block), 슈퍼 블록(Super Block), I-node(Index node) 블록, 데이..
[Linux/Unix] 리눅스 파일 시스템
·
OS_Linux&Unix
리눅스 파일시스템의 모습. 주요 디렉터리만 설명 / 루트 디렉토리라고 불리며 리눅스의 최상위 디렉토리입니다. 아래의 주요 디렉터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모든 디렉토리가 생성되고 다른 파티션(디스크 분할)의 연결점 입니다. bin. 사용자들이 쓸 수 있는 명령어를 저장해 놓은 디렉터리입니다. sbin. 관리자(root)가 사용 할 수 있는 명령어를 저장 해 놓은 디렉터리입니다. dev. 장치 파일(프린터, 마우스, 모니터 등)을 저장하는 공간이며 커널을 통해서 이 하드웨어에 접근하고 자원을 할당 받을 수 있습니다. •실제 로 하드 디스크에 존재하지는 않는 정보를 저장함 • 모든 하드웨어( hdd,cdrom, 마우스, 가상 장치,etc…) 를 파일로 인식 하며 이를 장치 파일이라 함 ..
# Unix 환경에서 특정 폴더의 용량 확인 명령어 ■ 명령어 구조 - du [option] [파일/디렉토리명] ■ 명령어 옵션 -a - 파일단위의 용량도 출력 (-a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디렉토리 용량만 출력) -b - 바이트(byte) 단위로 출력 (Default KB) -k - 키로바이트(KB) 단위로 출력 -m - 메가바이트(MB) 단위로 출력 -B - 블록 크기(Size) 단위로 출력 -h - 작은파일은 KB단위, 큰파일은 MB, GB단위로 출력 -d - 하위 디렉토리를 몇 단계 까지 출력할지 지정 -s - 용량의 합계를 출력 -D - 심볼릭 링크의 경우 원본의 값을 보여줌
[Linux/Unix] 리눅스 디스크 확인 명령어
·
OS_Linux&Unix
df : 디스크의 남은 용량을 확인 df -k : 킬로바이트 단위로 현재 남은 용량을 확인 df -m : 메가바이트 단위로 남은 용량을 왁인 df -h : 보기 좋게 보여줌 df . : 현재 디렉토리가 포함된 파티션의 남은 용량을 확인 du : 현재 디렉토리에서 서브디렉토리까지의 사용량을 확인 du -a : 현재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파일단위 출력 du -s : 총 사용량을 확인 du -h : 보기 좋게 바꿔줌 du -sh * : 한단계 서브디렉토리 기준으로 보여준다. 유닉스에서 자주 사용 du -sm 총사용량을 메가바이트로 du -sg 총사용량을 기가바이트로
[UNIX] 유닉스 서버 cpu / memory 정보 확인 명령어
·
OS_Linux&Unix
1. 설치된 OS명 AIX, Solaris, HP-UX # uname -s 2. 설치된 OS 버전 (1) AIX # echo `uname -v`.`uname -r` or # oslevel (2) Solaris, HP-UX # uname -r 3. 모델명 (1) AIX # lsattr -E -l sys0 | awk '/modelname/ {print $2}' (2) Solaris # uname -i (3) HP-UX # uname -m 4. CPU 갯수 (1) AIX # lsdev -Cc processor | wc -l (2) Solaris # psrinfo | wc -l (3) HP-UX # ioscan -fknC processor | grep processor | wc -l 5. CPU 속도 (1) A..
find 명령어로 파일/라이브러리 찾기 fidn / -name 'libclntsh.so.19.1' -type f find : 찾는다 / : 전체 디렉토리에서 -name : 이름이 'libclntsh.so.19.1' : 인 라이브러리를 -type : 다음과 같은 타입으로 f : 모든 파일 타입으로 # find / -name 'libclntsh.so.19.1' -type f /media/32900021/32904851/files/lib/libclntsh.so.19.1 /orahome/db/product/19c/.patch_storage/32904851_Jul_20_2021_09_21_24/files/lib/libclntsh.so.19.1 /orahome/db/product/19c/lib/libclntsh.s..
[Linux] 파일 수정을 언제 했지? - stat /orahome/db/product/19c/lib/libclntsh.so.19.1
·
OS_Linux&Unix
내가 이 파일을 수정했나...? 라는 생각이 들 때 사용하는 커맨드 stat stat /orahome/db/product/19c/lib/libclntsh.so.19.1 File: '/orahome/db/product/19c/lib/libclntsh.so.19.1' Size: 21136 Blocks: 48 IO Block: 4096 regular file Device: fc00h/64512d Inode: 137822647 Links: 1 Access: (0755/-rwxr-xr-x) Uid: ( 300/ oracle) Gid: ( 500/ dba) Access: 2022-11-01 10:12:44.695000000 +0900 Modify: 2022-10-21 06:50:22.742000000 +0900 C..
[Linux/Unix] Tuxedo Database XA 구성
·
OS_Linux&Unix
makefile을 make로 precompile하기. complie이란? ● 사람이 이해하는 언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바꾸어 주는 과정. ● 원시코드에서 목적코드(목적파일)로 바꾸어 주는 것이 컴파일이고 목적 파일을 실행 파일로 바꾸는 것이 링크. ● 원시코드는 우리가 작성한 코드, 목적코드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한 코드. ● 컴파일과 링크의 기능을 하는 것이 컴파일러이다. -> 컴파일이란.. 내가 필요한 목적물로 만들어주는 용어라고 생각하면 됨. makefile을 프리컴파일하기 위해서 설정 하는 내용 1. makefile 내에서 tuxedo 환경변수 / oracle DB id/passwd / 라이브러리 절대경로 설정 2. .bash_profile에서 buildserver의 절대..
PCC-F-02104, Unable to connect to Oracle 에러
·
OS_Linux&Unix
https://kldp.org/node/1483 오라클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틀린 에러 또는 오라클 계정이 접속되어있지 않은 에러 오라클 계정을 확인하거나 그래도 안될 시에 임시적인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다 SQLCHECK=FULL =====> SQLCHECK=SYNTAX 로 수정 FULL 옵션은 오라클 계정을 물고 들어가는 것 같다. PCC-F-02104, Unable to connect to Oracle 이런 에러는?? | KLDP 안녕하세요..다시 도움을 요청하게 되었네요.. 현재 UNIX, 솔라리스 8.1.7을 사용중입니다. 지금 하는 작업이 UNIX1 ==>UNIX2로 이전 (프로그램 및 DB모두)작업을 하고 있는데요.. UNIX2에서의 홈디렉토리 kldp.org PCC-F-02104, Unabl..
awk는 프로그래밍언어로 만들어져서 사용법이 매우... 까다로운 것 같다. awk 명령어 옵션. awk 명령의 기본 형식과 옵션 awk [OPTION...] [awk program] [ARGUMENT...] OPTION -F : 필드 구분 문자 지정. -f : awk program 파일 경로 지정. -v : awk program에서 사용될 특정 variable값 지정. awk program -f 옵션이 사용되지 않은 경우, awk가 실행할 awk program 코드 지정. ARGUMENT 입력 파일 지정 또는 variable 값 지정. awk 사용 예 명령어 옵션 파일의 전체 내용 출력 awk '{ print }' [FILE] 필드 값 출력 awk '{ print $1 }' [FILE] 필드 값에 임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