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xedo] Tuxedo 10.3g - JOLT 구성 중 jrepository 관련 에러
·
TroubleShooting
JOLT 구성을 위해서는 jolt 서버가 필요한데, JREPSVR이라는 서버다. JREPSVR 서버는 레포지토리를 수정하고 접근하기 위한 서비스들을 가지고 있다. 복수 JREPSVR 인스턴스는 shared file을 통하여 repository를 공유한다.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configuration을 찾아보면 UBBCONFIG의 Server 섹션에서 1. SRVID 부여 2. repository에는 읽기 권한만 있으므로 -W 옵션으로 쓰기 권한을 부여한다. 3. repository 파일의 절대경로를 -P로 잡아준다. 만약 -P 옵션이 없으면 ULOG 에러가 쌓인다. (하라고 나옴) 4. 3번의 부가적인 내용. -P 다음에 절대경로 잡아줌. 5. tmloadcf 및 tmboot. 5번을 이행하기 전에는 물..
[Tuxedo] ULOG error 메세지 정리
·
TroubleShooting
1. LIBTUX_CAT:376:ERROR: tpabort => Tpadbort가 rollback을 요청하였으나 실패함. 아래는 해당 프로세스에 대한 xa log임 ORA-24765: transaction does not exist xaostart:XAER_NOTA; RESUME|JOINand can't switch txn xaorollback: XAER_PROTO; TX locally suspended => DB 및 서버 프로세스 상태 점검 2. LIBTUX_CAT:377: EROOR: tpabort state TMGABORTED => tpabort가 TMGABORTED 상태임 (즉, 이미 abort된 상태) => DB 상태 점검 3. LIBTUX_CAT:4053: ERROR: Routing funct..
[Unix] AIX IBM - ksh : not found
·
TroubleShooting
AIX node1에서 .profile 변경 후  명령어 not found 가 계속 된다면..   node 2의 PATH 환경변수 : /ofm/jwchoi/sw2/tp/tuxedo12.2.2.0.0/bin:/usr/java8_64/jre/bin:/ofm/jwchoi/sw2/tp//bin:/ofm/jwchoi/sw/tp//OPatch:/bin:/usr/bin:/etc:/usr/sbin:/usr/ucb:/usr/bin/X11:/sbin:/usr/java8_64/jre/bin:/usr/java8_64/bin:/usr/vac/bin:.::/oracle/app/grid/product/19c/gihome_1/bin   를 node1의 export PATH로 잡고 들어가서  다시 .profile를 수정하고 실행해준다.
[Tuxedo] 테스트 / Can't send request to service TOUPPER Tperrno = 10
·
TroubleShooting
테스트의 취지 클라이언트로 부터 request된 Service를 reply해줘야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reply하지 못하고 계속적으로 죽는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개발과 운영, 어느 쪽의 문제라는 점이 중요하게 된다. 위와 같은 경우, 즉 해당 에러는 Tuxedo의 문제점이라고 하기는 애매하고, AP server 프로세스의 문제점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짐작할 수 있게 된다. 에러 로그를 확인하자. 173306.node1!BBL.55640432.1.0: LIBTUX_CAT:541: WARN: Server GROUP4/402 terminated 173306.node1!BBL.55640432.1.0: LIBTUX_CAT:557: INFO: Server GROUP4/402 being restarted ..
[Tuxedo] WARNING: LLE Configuration discovered! Note that LLE has been deprecated. You should upgrade to SSL to secure network links.
·
TroubleShooting
이 warning을 없애기 위해서 Tuxedo server 의 tux.env 파일 내에 아래 환경변수를 추가한다. LLE_DEPRECATION_WARN_LEVEL=NONE
[Tuxedo] Error code
·
TroubleShooting
1 : TPEABORT - transaction cannot commit > 트랜젝션이 commit 될 수 없는 상태입니다. 서비스가 timeout 이 난 경우가 해당되구요.. 만일 서비스가 정상 수행을 했는데 이런 메시지가 나왔다면 tpbegin 에서 주는 timeout 수치가 너무 짧은 것은 아닌지 검토해 보실 필요도 있으며, 일단은 Query tuning이 우선이지요.. ^^ (TPED_SVCTIMEOUT) 2 : TPEBADDESC - bad communication descriptor > async mode 또는 conversation mode의 communication model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러입니다. async나 conversation은 communication handle 을 사용..
Opatch - rollback (RP087이 RP091에게 의존하고 있음)
·
TroubleShooting
RP087부터 rollback하려고하면 opatch failed with error code 74 에러가 나옴. " OPatch will not roll back patch(es) "33735306" until you have rolled back dependent patch(es) "34182899". " RP087은 RP091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rollback 불가 . # ./opatch rollback -id 33735306 -invPtrLoc /ofm/jwchoi/sw/tp/oraInventory/oraInst.loc Invoking OPatch 11.2.0.1.2 Oracle Interim Patch Installer version 11.2.0.1.2 Copyright (c) 2010, O..
[Tuxedo] RP091 패치를 rollback 하고 난 후에 에러
·
TroubleShooting
테스트 장비 : IBM AIX 7.2 # tmadmin -v exec(): 0509-036 Cannot load program tmadmin because of the following errors: rtld: 0712-001 Symbol _tmnwkill_rte was referenced from module tmadmin(), but a runtime definition of the symbol was not found. rtld: 0712-002 fatal error: exiting. rollback 후 패치버전 확인하였으나 tmadmin 을 로드할 수 없다는 에러가 나왔다. 뭐 대충.... sysbol _tmnwkill_rte 가 참조되었지만 런타임정의를 찾지 못한다고 한다. 설마했는데 tmboo..
[Tuxedo] Can't send request to service TOUPPER (Tperrno = 11)
·
TroubleShooting
현상 : TPESVCFAIL(tperrno=11-ATMI Error Message) 원인 : 응용프로그램 레벨 서비스 오류 tpreturn에서 TPFAIL Flag를 Setting했을때 발생 Tuxedo는 tpcommit이 호출되더라도 Transaction을 Abort한다 서버 프로세스에서 tpreturn 에서 TPEXIT / TPFAIL 함수 사용시 발생하는 에러
[Tuxedo] ERROR: Could not establish listening address on network //192.168.56.xxx:xxxx
·
TroubleShooting
MP모드시 master node1에서 부팅을 하게되면 BBL과 WSL 기동이 되지 않는 상황이다. 8시간동안 테스트중. 한가지 알게 된건 netstat -an | grep [PORT] 커맨드를 사용하면 내 포트가 ESTABLISHED됐는지, LISTEN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내가 알게 된 건 listener는 활성화되었지만 BRIDGE가 연결되지 않은 걸 확인할 수 있었다. NADDR 옵션 문제인 듯하다. 방법 : tmboot 전과 tmboot 후의 listener / bridge 상태와 비교한다. 부팅 후 netstat으로 확인해보면 둘다 올라와있음 [tuxedo@olr6-6|/sw/tp/tuxedo11gR1/samples/atmi/simpapp]$ netstat -an | grep 7071 ..
[Tuxedo] CMDTUX_CAT:111: ERROR: TUXCONFIG of machine ...
·
TroubleShooting
CMDTUX_CAT:111: ERROR: TUXCONFIG (/ofm/jwchoi/sw2/tp/tuxedo12.2.2.0.0/samples/atmi/simpapp/tuxconfig) of machine node1 must be the same as the TUXCONFIG environment variable (/sw/tp/tuxedo12.2.2.0.0/samples/atmi/simpapp/tuxconfig) TUXCONFIG 경로가 잘못 잡혀있을 때 나오는 에러다 => backup 머신에서 TUXCONFIG를 ubbconfig에 설정된 Master머신의 TUXCONFIG 절대경로로 잡아주어야한다.
CMDTUX_CAT:814: ERROR: Cannot propagate TUXCONFIG file
·
TroubleShooting
MP모드 기동시 부팅 에러 exec BBL -A : on simple -> CMDTUX_CAT:814: ERROR: Cannot propagate TUXCONFIG file exec WSL -A -- -n //192.168.56.109:6000 -p 6001 -P 6099 -w WSH -t 15 -m 3 -M 10 -x 10 : on AIX2 -> Failed. 1. 위의 에러는 BBL이 띄워지지 않은 에러다 -> 백업머신의 IPC자원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 2. 두번째 에러는 WSL이 띄워지지 않은 에러다. -> WSNADDR 연결이 백업머신-> 마스터머신 으로 TCP/IP가 안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ULOG상 에러 CMDTUX_CAT:1578: ERROR: Could not contact NLS on..
[Tuxedo] oracle XA 구성 중 에러
·
TroubleShooting
[Tuxedo]GROUP절 OPENINFO 구성 중 에러 정리   기동하면서 ULOG와 XA.trc  에러메세지 확인   ULOG 확인  LIBTUX_CAT:466: ERROR: tpopen TPERMERR xa_open returned XAER_INVAL   ->  DB ID/PASSWD 제대로 적었는지 확인 LIBTUX_CAT:466: ERROR: tpopen TPERMERR xa_open returned XAER_RMERR -> DB 사용자 권한 문제 LIBTUX_CAT:250: ERROR: tpsvrinit() failed  -> DB 사용자 권한 문제LIBTUX_CAT:300: ERROR: _tlog_open: _gp_tblopen: UNIX sys call error - 2 -> DB 사용자 ..
[Tuxedo] CMDTUX_CAT:825: ERROR: Process WSL at simple failed with /T tperrno (TPESYSTEM - internal system error)
·
TroubleShooting
WSNAT_CAT:1070: ERROR: Cannot boot WSL with MAXWSCLIENTS for machine set to 0 023108.hostname!WSL.32453.3905118720.0: WSNAT_CAT:1193: WARN: Obsolete option used, -t 023108.hostname!WSL.32453.3905118720.0: WSNAT_CAT:1070: ERROR: Cannot boot WSL with MAXWSCLIENTS for machine set to 0 023108.hostname!WSL.32453.3905118720.0: LIBTUX_CAT:250: ERROR: tpsvrinit() failed 023108.hostname!tmboot.32446.3635..
[Tuxedo] NLS:4: Cannot open message catalog CMDTUX_CAT..
·
TroubleShooting
NLS:4: Cannot open message catalog CMDTUX_CAT, set 2, num 8350; check TUXDIR=/sw/tp/tuxedo12.2.2.0.0/samples/atmi/simpapp/, LANG=C NLS:4: Cannot open message catalog CMDTUX_CAT, set 1, num 866; check TUXDIR=/sw/tp/tuxedo12.2.2.0.0/samples/atmi/simpapp/, LANG=C 원인 : TUXDIR 경로가 잘못 잡혀있음. ubbconfig 내의 경로와 같아야함. 해결 : /home/사용자디렉토리/.bash_profile 수정
최선을 다하자!
'TroubleShooting'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