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Unix] grep 명령어 / -H, -v, -i, -E, -W
·
OS_Linux&Unix
# grep -E (= egrep) -E 옵션 + ' | '는 OR 이다. ### grep -E '9000' ubbsimple = grep '9000' ubbsimple (grep -E 와 차이가 없다) => ubbsimple 파일에서 9000으로 된 내용 출력 ### grep -E '9000|5000' ubbsimple => ubbsimple 파일에서 9000 OR 5000으로 된 내용 출력 # grep -E '9000' ubbsimple CLOPT="-A -- -n //111.110.82.222:9000 -w JSH -m 3 -M 5 -x 3" # grep -E '9000|5500' ubbsimple CLOPT="-A -- -n //111.110.82.222:9000 -w JSH -m 3 -M 5 -..
[Linux/Unix] AIX ftp 서비스 확인 명령어
·
OS_Linux&Unix
AIX ftp 서비스 종료 시작 방법 # ftp 서비스 확인 lssrc -ls inetd | grep ftp # ftp 서비스 종료 1) vi /etc/inetd.conf 2) ftp "#" 처리 3) refresh -s inetd # 확인 lssrc -ls inetd | grep ftp
[Linux/Unix] .bashrc / .bash_profile / .profile ?
·
OS_Linux&Unix
# Login Shell vs Non-login Shell 먼저 'Login Shell'과 'Non-login Shell' 을 구분해야 하는데, 로그인은 계정과 암호를 입력해서 Shell을 실행하는 것이다. ssh로 접속하거나 로컬에서 GUI에서 로그인한다는 의미다. '.profile', '.bash_profile'은 Login할 때 로드되는(source) 파일이다. '.profile'은 꼭 bash가 아니더라도 로그인하면 로드되고 '.bash_profile'은 꼭 Bash로 Login할 때 로드된다. 그리고 'Non-login Shell'은 로그인 없이 실행하는 Shell을 말한다. ssh로 접속하고 나서 다시 bash를 실행하는 경우나. GUI 세션에서 터미널을 띄우는 것이 이해 해당한다. 'sudo..
[Tuxedo] CMDTUX_CAT:1685: ERROR: Application initialization failure
·
TroubleShooting
# JSL 부팅 에러 # ULOG상 찍힌 에러 150903.node2!JSH.22020628.1.-2: JOLT_CAT:1008: "ERROR: Could not establish listening address on network 0x00021b59d36e5284" 150903.node2!JSL.35389942.1.0: JOLT_CAT:1079: "ERROR: Error starting mininum number of handlers" JSL 띄울 시 - 네트워크에 리스닝 할 수 없음. - Handler의 minimum number가 starting하는데 에러 발생. LISTEN할 Port를 사용중이어서 나오는 에러임. 다른 port로 사용한다.
[Weblogic] 어플리케이션 배포
·
Middleware_Weblogic
1. Weblogic console 접속 및 배치 선택 2. 설치 선택 3. 어플리케이션이 배포가 되기 위해서는 WEB-INF 라는 디렉토리에 web.xml 이 필요하다. 따라서 배포 하려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디렉토리에 WEB-INF 디렉토리가 필수로 존재하여야한다. 배포할 디렉토리의 경로를 확인하고 선택 후 다음 버튼 클릭 4. 설치 유형 및 범위 선택 어플리케이션으로 설치하기 선택 후 다음 5. 배포 대상 선택 6. 옵션 디폴트값으로 진행 후 다음 클릭 7. 검토하고 클릭 8. 배포된 어플리케이션 확인
[Tuxedo] tmshutdown SIGKILL / SIGTERM 옵션을 사용할 경우
·
Middleware_Tuxedo
# tmshutdown tmshutdown 커맨드와 주로 사용하는 옵션으로는 -cy 지만 (client들이 연결되어있어도 프로세스를 shutdown 하겠다 라는 옵션) -w 옵션을 주어서 shutdown을 delay 시킬 수 있다. # tmshutdown 예시 * 예를 들어 > > tmshutdown -w 2 -s simpserv server를 2초의 시간으로 딜레이를 주어 shutdown 시키겠다는 커맨드다. -w 옵션은 1. SIGTERM 으로 죽이고, 그래도 내려가지 않는 경우에 2. SIGKILL 로 죽인다. # tmshutdown SIGKILL SIGTERM ? > tmshutdown -k TERM 으로 tmshutdown을 하면 SIGTERM 함수를 보내어 tpsvrdone()을 수행하면서 p..
[Tuxedo] 한 계정으로 서로 다른 버전의 Tuxedo 기동하기
·
Middleware_Tuxedo
테스트 환경 IBM AIX 7.2 - Oracle Tuxedo 12c Oracle Tuxedo 10.3g 테스트 한 계정으로 서로 다른 버전의 Tuxedo 엔진을 기동하는 테스트 진행 테스트 내용 UNIX OS상에서 같은 계정으로 접속하여 .profile에 각기 다른 환경설정을 해주고 엔진을 기동하였을 때, 하나의 Tuxedo가 올라가면 다른 version의 Tuxedo는 올라가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테스트 결과 * 버전이 다를 경우 나오는 ULOG들 LIBTUX_CAT:590: ERROR: Unable to read the TUXCONFIG file, version type mismatch - 버전이 맞지 않기 때문에 환경변수파일을 읽고 올라갈 수 없다. CMDTUX_CAT:111: ERROR: T..
[Tuxedo] LIBTUX_CAT:563 / LIBTUX_CAT:555 에러
·
TroubleShooting
563 ERROR: Unable to exec command - errno=errno_val Description The TUXEDO System/T application was running on a multi-processor environment. While attempting to use the sysmulti function, an error was detected. Action Contact your UNIX System Administrator. 555 ERROR: Unable to exec command - errno=errno_val Description The Oracle TUXEDO system attempted to execute the cleanupsrv process. The U..
[Tuxedo] Tuxedo 10.3g - JOLT 구성 중 jrepository 관련 에러
·
TroubleShooting
JOLT 구성을 위해서는 jolt 서버가 필요한데, JREPSVR이라는 서버다. JREPSVR 서버는 레포지토리를 수정하고 접근하기 위한 서비스들을 가지고 있다. 복수 JREPSVR 인스턴스는 shared file을 통하여 repository를 공유한다.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configuration을 찾아보면 UBBCONFIG의 Server 섹션에서 1. SRVID 부여 2. repository에는 읽기 권한만 있으므로 -W 옵션으로 쓰기 권한을 부여한다. 3. repository 파일의 절대경로를 -P로 잡아준다. 만약 -P 옵션이 없으면 ULOG 에러가 쌓인다. (하라고 나옴) 4. 3번의 부가적인 내용. -P 다음에 절대경로 잡아줌. 5. tmloadcf 및 tmboot. 5번을 이행하기 전에는 물..
[Tuxedo] Service rename
·
Middleware_Tuxedo
Tuxedo service rename 방법 #실행 결과 > 실제 서비스 이름 : TOLOWER - psc로 확인 했을 때 service name이 TOLOWER2로 호출 되어야 함. * TOLOWER2은 예시. 수정 가능 수정이 필요한 환경변수 *SERVER *SERVICES 1. *server단에서 simpserv2 수정 2. CLOPT에 -s 옵션을 추가하여 TOLOWER2(변경될 서비스명):TOLOWER(변경할 서비스명) ex) CLOPT=" -s TOLOWER2:TOLOWER" ubbconfig예시) simpserv2 SRVGRP=GROUP2 SRVID=200 CLOPT="-A -r -s TOLOWER2:TOLOWER -o /ofm/jwchoi/sw2/tp/tuxedo12.2.2.0.0/samp..
[Tuxedo] ULOG error 메세지 정리
·
TroubleShooting
1. LIBTUX_CAT:376:ERROR: tpabort => Tpadbort가 rollback을 요청하였으나 실패함. 아래는 해당 프로세스에 대한 xa log임 ORA-24765: transaction does not exist xaostart:XAER_NOTA; RESUME|JOINand can't switch txn xaorollback: XAER_PROTO; TX locally suspended => DB 및 서버 프로세스 상태 점검 2. LIBTUX_CAT:377: EROOR: tpabort state TMGABORTED => tpabort가 TMGABORTED 상태임 (즉, 이미 abort된 상태) => DB 상태 점검 3. LIBTUX_CAT:4053: ERROR: Routing funct..
[Linux/Unix] 디렉토리 내의 공백인 파일 삭제하기 - inode값 확인
·
OS_Linux&Unix
디렉토리에 공백으로 만들어진 불필요한 파일이 존재할 때, rm 으로 지워지지 않는다. inode 값으로 삭제를 하면 된다. 1. ls -lrti 로 node값 출력 2. node 값을 이용해서 rm find . -inum 309080 -exec rm -f {} \; 성공
[Unix] AIX IBM - ksh : not found
·
TroubleShooting
AIX node1에서 .profile 변경 후  명령어 not found 가 계속 된다면..   node 2의 PATH 환경변수 : /ofm/jwchoi/sw2/tp/tuxedo12.2.2.0.0/bin:/usr/java8_64/jre/bin:/ofm/jwchoi/sw2/tp//bin:/ofm/jwchoi/sw/tp//OPatch:/bin:/usr/bin:/etc:/usr/sbin:/usr/ucb:/usr/bin/X11:/sbin:/usr/java8_64/jre/bin:/usr/java8_64/bin:/usr/vac/bin:.::/oracle/app/grid/product/19c/gihome_1/bin   를 node1의 export PATH로 잡고 들어가서  다시 .profile를 수정하고 실행해준다.
[Tuxedo] 테스트 / Can't send request to service TOUPPER Tperrno = 10
·
TroubleShooting
테스트의 취지 클라이언트로 부터 request된 Service를 reply해줘야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reply하지 못하고 계속적으로 죽는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개발과 운영, 어느 쪽의 문제라는 점이 중요하게 된다. 위와 같은 경우, 즉 해당 에러는 Tuxedo의 문제점이라고 하기는 애매하고, AP server 프로세스의 문제점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짐작할 수 있게 된다. 에러 로그를 확인하자. 173306.node1!BBL.55640432.1.0: LIBTUX_CAT:541: WARN: Server GROUP4/402 terminated 173306.node1!BBL.55640432.1.0: LIBTUX_CAT:557: INFO: Server GROUP4/402 being restarted ..
[Tuxedo] WARNING: LLE Configuration discovered! Note that LLE has been deprecated. You should upgrade to SSL to secure network links.
·
TroubleShooting
이 warning을 없애기 위해서 Tuxedo server 의 tux.env 파일 내에 아래 환경변수를 추가한다. LLE_DEPRECATION_WARN_LEVEL=NONE
최선을 다하자!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9 Page)